정치

전두환 삼합회란? 군부 권력 장악의 역할과 위치

백귀 2024. 12. 5. 16:49
반응형

전두환 삼합회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군부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주요 군 인사 그룹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들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이후 권력 장악 과정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신군부의 중심 세력으로 활동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합회의 구성과 역할,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삼합회의 정의와 구성

1. 정의

  • 삼합회는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육군사관학교 11기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을 의미합니다.
  • 이들은 군 내부의 조직적 결속력을 바탕으로 기존 군부를 무력화하고 신군부 체제를 수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2. 주요 인물

  •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으로 신군부 세력의 지도자로서 군사 반란과 비상계엄 확대를 주도.
  • 노태우: 당시 수도경비사령관으로 전두환의 최측근이자 신군부 세력 강화에 협력.
  • 정호용: 당시 특전사령관으로 특전사 병력을 동원해 신군부의 군사력을 뒷받침.

삼합회의 역할

1. 12·12 군사 반란의 주도

  • 삼합회는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를 통해 군부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정승화를 강제로 체포하며 군의 지휘 체계를 무력화하고, 자신들의 통제 하에 두었습니다.

2. 군부 재편과 신군부 체제 강화

  • 12·12 이후 삼합회는 기존 군부 내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자신들에 충성하는 군 인사들로 재편했습니다.
  • 이를 통해 군부 전체를 장악하며, 이후 국가 권력을 장악하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3. 비상계엄 확대와 정치적 탄압

  • 1980년 5월, 삼합회는 비상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습니다.
  •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과잉 진압을 지휘하며 시민 저항을 억압했습니다.

4. 국가권력 장악과 제5공화국 출범

  • 삼합회는 1980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설치하며 실질적인 국가 통치 권한을 행사했습니다.
  • 이후 전두환은 대통령직을 차지하며 제5공화국을 수립했습니다.

삼합회의 위치와 영향력

1. 군부 내 위치

  • 삼합회는 육군사관학교 11기라는 학연과 전두환 중심의 결속력을 통해 군부 내 지배적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 군부 전체를 통제하며, 정치적 결정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2. 정치적 영향력

  • 삼합회는 군사력을 바탕으로 정치 권력을 장악했으며, 독재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 언론 통제, 정치 탄압, 헌법 개정 등 권위주의적 정책을 주도했습니다.

3. 국민적 반발과 민주화 운동 촉진

  • 삼합회의 독재적 통치는 광주민주화운동을 비롯한 민주화 요구를 억압했지만, 결국 국민적 저항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이는 1987년 6월 항쟁과 민주화의 길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삼합회의 역사적 평가와 교훈

1. 권력 남용과 군사 독재

  • 삼합회는 군사력을 동원해 정권을 장악하고 권력을 남용하며, 민주주의를 후퇴시켰습니다.

2. 군의 정치 개입 비판

  • 군부의 정치 개입이 가져오는 폐해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군의 정치적 중립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3. 민주화 운동의 촉진제

  • 삼합회의 독재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불씨를 키웠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되찾는 과정으로 이어졌습니다.

결론: 현대사에서 군부 독재와 민주주의 충돌의 중심에 있던 세력

전두환 삼합회는 한국 현대사에서 군부 독재와 민주주의 충돌의 중심에 있던 세력입니다.

 

이들의 권력 장악 과정은 군사 독재의 폐해와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다시금 각인시켰습니다.

 

삼합회의 행적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권력 분립과 민주적 통제의 중요성을 가르쳐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남아 있습니다.

 

반응형